오늘은 포토샵을 배웠다. 워크스페이스 설정 방법과 포토샵에서 빠질 수 없는 누끼따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배웠다. 포토샵으로 이미지를 합성하는 데 누끼따는 과정은 필수.
누끼따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, 디자이너가 상황에 맞게 편한 방법을 선택하면 되는 것으로, 여러 툴 사용방법을 알고 있다면,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응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.
일반적으로 캐릭터, 타이포, 도형을 편집할 때는 이미지가 깨지면 좋지 않으므로 벡터방식의 일러스트레이터로 편집한다. 사진, 실사, 사진 보정의 경우는 정교한 색을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포토샵으로 편집한다.
*단축키
V : 선택
:개체 선택할 때 개체 위에서 마우스 우클릭하면 해당 레이어를 선택할 수도 있다.
A : 부분선택 및 편집
Alt+드래그 : 복사
Ctrl+J : 레이어 복사
Ctrl+G : 그룹 (레이어도 그룹 적용이 가능하다, 레이어를 묶으면 가장 상위 레이어로 올라감)
Ctrl+Shift+G : 그룹해제
Ctrl+0 : 화면 비율 꽉차게
Ctrl+1 : 비율 100%보기
Tab / F :메뉴창/옵션창 숨기기
그리드 : Ctrl+'
R : 작업창을 회전
Ctrl+Shift+ [ / ] : 레이어 한꺼번에 최상단/최하단 이동
Ctrl + [ / ] : 레이어 위아래 이동
Ctrl + N : 새파일 불러오기
Ctrl + O : 파일 열기
Ctrl + Alt + C : 캔버스 사이즈
Ctrl + Alt + I : 이미지 사이즈
Ctrl+레이어클릭 : 컨트롤키 누른 상태에서 레이어 창을 선택하면 개체가 자동 선택됨
Ctrl+D : 선택 해제
Alt+del(=Alt+백스페이스) : 전경색 채우기 / Ctrl+del(=Ctrl+백스페이스) : 배경색 채우기
*이미지 크기 변경 및 회전
Ctrl + T(transform)
: 이미지 영역 선택 후 늘리고 줄이고, 회전하는 등 편집모드.
:이때, Shift키 누르면 자유로운 비율로 이미지 편집 가능.
: Alt 누르면 중심점 기준으로 이미지 크기 변경
:포토샵은 화면이 작업창보다 이미지가 커졌을 때 핸드툴이 작동함.
:Ctrl+T 상태에서 우클릭하면 좌우상하반전, 왜곡, 공간왜곡, 등 다양하게 편집가능.
File - Place embedded : 작업중이던 창에 이미지 삽입 후 엔터 눌러야 고정
*포토샵 워크스페이스 설정하기
1. Swatches / Color / Adjustments / Properties
2. Character / Paragragh / Brush settings(=presets) / Brushes
3. Layers / Path / Channels
Window - new workspace - 이름설정 후 - save
*이미지의 용량을 결정하는 Resolution
-사진-우클릭 - 속성 - 자세히
사진의 용량, 사이즈, 픽셀 등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-Image size (Ctrl+Alt+I)에서 resolution(해상도) 값을 조정하여 용량을 줄일 수 있다. 보통 300/150/72DPI 중에서 흔히 선택한다
-한 번 낮아진 해상도는 (300 -->72DPI) 다시 복구되지 않음. 저장 전이라면 Ctrl+Z해서 원상복구할 수 있음. 따라서 원본을 늘 유지하고 새로 레이어를 복사해서 편집하는 습관이 중요.
위 이미지는 가로 세로 10cm x 10cm의 크기가 같은 이미지다. 하지만, Resolution에 따라 용량과 픽셀이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다.
-인쇄(프린트)용 이미지 Resolution : 300DPI
-화면(스크린)용 이미지 Resolution : 72DPI
레졸루션을 조정하는 이유는 이미지의 용량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이다.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지 용량이 적은 버전으로 편집해야 할 때가 있는데, 이때는 이미지의 레졸루션을 조정하면 된다.
*일러스트 작업물을 포토샵으로 붙여넣기할 때
일러스트 개체를 Ctrl+C 해서 포토샵에서 Ctrl+V 하면 작업창이 뜬다. 작업창 메뉴는 다음과 같다.
-Smart Object : 사진 크기 조정시 깨지는 현상 줄어들고 효과 적용한 경우 내역이 남기 때문에 작업할 때 확인이 용이한 장점. 이미지 불러올 때 스마트 오브젝트로 불러오는 것을 권장.
-Pixel : 픽셀로 구현된 이미지파일이 붙여넣기됨
-Path : 펜선만 붙여넣기됨
-Shape Layer : 일러스트처럼 도형작업이 가능한 형태로 붙여넣기됨. 단, 도형이 아닌 Strok로만 만든 도형의 경우는 도형이 깨질 수 있음.
*스마트 오브젝트 : 스마트오브젝트로 이미지를 붙여넣기하면 이미지 작업 시 효과나 필터가 먹히지 않을 수 있음. 따라서 레이어에 우클릭한 뒤 Rasterize Layer를 눌러서 이미지화 시켜주어야 함.
반대로 개체의 크기를 변경하기 전에 스마트오브젝트로 만들려면 Convert to smart object를 클릭하면 다시 스마트오브젝트화 시킬 수 있다.
아래 이미지는 일러스트레이터에서 펜선으로 Stroke로 곡선을 그린뒤 좌우반전 후 로고를 만든 개체를 포토샵으로 스마트오브젝트로 불러와 만든 이미지.
*포토샵으로 이미지 누끼 따기 / 합성
-합성할 이미지 불러오기 : 작업창에 이미지 파일을 드래그해도 가능
-Ctrl+O 하거나 Place embedded 해도 됨
-영역 자르기 : 선택툴로 선택하는 단계에서 Feather 값을 먹여야 잘랐을 때 테두리 경계가 자연스러워짐
-영역 선택 반전 : Ctrl+Shift+I(Invert) : 선택영역을 반전시키면 선택영역만 남기고 배경을 삭제할 수 있음
-Feather 값이 안 먹을 때 : Anti-alias에 체크되어있지 않나 확인해 보기. 체크 해제하면 Feather 값 먹일 수 있음.
-용량 큰 이미지가 굳이 필요 없을 때 : 1000px이상 이미지. 2000이상은 너무 큼
-누끼따기 : 원본을 Ctrl+J로 복사한뒤 원본은 숨긴 후 작업하기. 레이어이름 정리해가면서 만들기
-Lasso Tool : 대략적으로 선택할 때
-Polygonal Tool : 클릭해가면서
-Magnetic Tool : 콘트라스트를 기준으로 알아서 자동으로 선택됨. 잘못 선택됐을 때는 백스페이스로 취소하기.
-object Selection : 오브젝트 드래그하면 알아서 선택됨
-Quick Selection : 브러시가 지나가면서 선택됨. (브러시 크기조절 : 대괄호 ( [ / ] ) Alt 누르면 선택 해제됨
-펜툴로 누끼따기
: 펜툴로 개체를 모두 완성한 상태에서 우클릭 --> Make Selection하기. Feather 주려면 Feather Radius에 값 입력하기.
:한번 만든 펜선 자국은 Path 탭에 가면 흔적이 남아있음. 이때 해당 레이어를 Ctrl+클릭하면 펜툴로 땄던 점선이 그대로 깜빡이며 선택됨. 그냥 선택하면 펜툴로 선택한 부분이 나옴.펜툴로 가서 우클릭 후 Make Selection 하면 페더값 조정 가능
-Adjustment Layer : 빈 레이어 추가해서 해도 되고, 개체 선택한 후 점선이 깜빡이는 상태에서 부분 적용해도 됨
Adjustment Layer 선택 후 Hue/Satuation 으로 색상 및 채도 조정 가장 많이 쓰는 기능
*이미지가 무채색이면, Hue/Saturation 조절창에서 colorize 박스에 체크해야 색상이 변경됨
*마스크
검정색 : 해당 없음
흰색 : 마스크 적용된 부분
*크롭
:Canvas size 조절 가능
:영상 비율은 16:9 비율
아래는 위 내용의 예제를 연습한 뒤 만든 작업물
* 무료이미지 참고 사이트
Unsplash
Beautiful Free Images & Pictures | Unsplash
Beautiful, free images and photos that you can download and use for any project. Better than any royalty free or stock photos.
unsplash.com
'노트정리 :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일러스트레이터] 이펙트 zigzag / 패스파인더 활용_221226 (0) | 2022.12.26 |
---|---|
[디자인기초] 포토샵의 마스크 활용 및 일러스트 패스파인더 연습 (0) | 2022.12.21 |
[디자인기초] 색상표와 로테이션, 과제 마무리 (0) | 2022.12.21 |
디자인 기초(20221216) 일러스트레이터 (0) | 2022.12.21 |
디자인 기초(20221215) 일러스트레이터 (0) | 2022.12.21 |
댓글